평판인쇄(Off-set)인쇄에 관해 이해를 돕기위해 평판인쇄의 시작부터 인쇄의 작동원리, 몇가지 특징에 대해서 적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Off-set인쇄를 응용한 디지털 출력 방식중 하나인 HP의 Indigo 출력에 대해 글을 써보려 합니다.
궁금하신내용이나 추가적으로 알고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답글 남겨주시면 한번 써보겠습니다.
평판인쇄 (Lithographic printing)
• 그리스어로 ‘돌’이라는 뜻의 Lithos에서 유래된 평판인쇄(Lithographic printing)는
1798년 독일의 알로이스 제네펠더(A. Senefelder)에 의하여 발명된 석판인쇄였다.
다공질의 석회석을 판으로 화선부와 비화선부를 물과 기름의 반발 성질을 이용한 평면인쇄기법의 시작이다.
• 평판인쇄의 발달은
– 석판에서 아연판,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들을 사용하게 되었고
– 인쇄를 위한 프레스의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 사진기법을 도입할 수 있음으로 인쇄판 제작공정 및 원색분해과정이 현대의 인쇄기술로 정착하기 이르렀다.
• 평판인쇄는 볼록판이나 오목판 또는 스크린인쇄와 같이 판의 화선부와 비화선부를 물리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동일한 평면 위에 공존하기 때문에 같은 평면 위에서 화선부와 비화선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법으로써 물과 기름의 반발하는 화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판의 비화선부는 친수성으로 하고 물을 묻게 하고, 화선부는 친유성(소수성)으로 하여 잉크를 묻게 하는 것이 평판인쇄의 기본적인 원리이다.
또한 판의 화상을 피인쇄체로 전이시키기 위해서는 직접 인쇄방식과는 달리 인쇄판과 종이 사이에 탄성체인 고무 블랑켓을 사용함으로서 인쇄판의 잉크는 먼저 블랑켓에 전이된 다음 다시 피인쇄체로 전이되는데 이것을 잉크가 판으로부터 피인쇄체로 “Offset”된다고 한다.
• 이와 같이 오프셋 인쇄에서는 화상의 전이가 2중으로 이루어짐으로 인쇄판의 상은 정상(Right reading)의 형태를 가져야 함으로 제판 과정에서 상당한 이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평판인쇄를 오프셋(offset)인쇄라고도 하며, 판면에 잉크를 묻히기 전에 수분을 주는 것으로 다른 판 식 인쇄와 다른 점이다.
– 그 때문에 평판 인쇄기에는 축임장치가 부속되어 있고, 여기에 사용하는 축임물은 약한 산성이다. 따라서 인쇄용지는 수분을 흡수하여 굽음(Curl)이 생기거나 신축(Wave)되기도 한다.
– 잉크에는 수분이 섞여 들어가서 건조가 느리고, 색상이 변하므로 인쇄 전에 종이를 조절하며, 잉크는 알맞은 평판잉크를 사용한다.
– 최근에 와서는 볼록한 오프셋 인쇄와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방법도 있기 때문에 오프셋 인쇄를 평판인쇄라고 하는 것이 옳다.
DTF(Direct to film) 시스템을 알아보자(feat. screen printing) (0) | 2023.03.07 |
---|---|
Hp Indigo 출력 (0) | 2022.12.22 |